구글 스프레드시트는 데이터 정리와 분석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중에서도 QUERY 함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정리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QUERY 함수를 활용하여 어떻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QUERY 함수란 무엇인가?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QUERY 함수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유사한 구문을 사용하여, 데이터 집합에서 원하는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QUERY(data, query, [headers])

여기서 data는 분석할 데이터의 범위를 의미하고, query는 수행할 검색 조건을 정의하는 SQL 유사 문장입니다. 그리고 [headers]는 헤더 행의 개수를 나타내며, 기본적으로 생략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선택하기

가장 간단한 QUERY 함수의 예는 특정 열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2부터 C10까지의 범위에서 B열과 C열의 데이터만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ERY(A2:C10, “SELECT B, C”)

이렇게 하면 B열과 C열의 내용만 추출되어 표시됩니다. 이 기능은 특정 데이터만 확인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조건부 필터링: WHERE 절 사용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필터링하고 싶다면 WHERE 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열의 값이 100보다 큰 데이터를 찾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ERY(A2:C10, “SELECT * WHERE B > 100”)

이러한 방식으로 매출액이나 특정 실적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조건 설정하기

여러 조건을 동시에 적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AND 또는 OR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원할 땐 AND를 사용합니다:

=QUERY(A2:C10, “SELECT * WHERE B > 50 AND C = ‘서울'”)

반면,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데이터를 찾고 싶다면 OR을 사용하면 됩니다:

=QUERY(A2:C10, “SELECT * WHERE B > 50 OR C = ‘부산'”)

데이터 정렬하기: ORDER BY 사용

데이터를 정렬하고 싶을 때는 ORDER BY 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열의 값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면:

=QUERY(A2:C10, “SELECT * ORDER BY B ASC”)

여기서 ASC는 오름차순, DESC는 내림차순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렬 기능은 데이터 분석에서 필요한 정보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데이터 그룹화하기: GROUP BY

부서별 실적이나 지역별 매출 등을 한눈에 보기 위해서는 그룹화가 필수적입니다. GROUP BY 절을 이용하면 각 그룹별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서별 매출 합계를 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QUERY(A2:C10, “SELECT C, SUM(B) GROUP BY C”)

이렇게 하면 각 지역 또는 부서별로 매출의 총합이 쉽게 계산됩니다.

LABEL과 FORMAT 사용하기

계산한 열의 이름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LABEL 절을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실적의 합계를 ‘총합’이라는 이름으로 표시하고 싶다면:

=QUERY(A2:C10, “SELECT SUM(B) LABEL SUM(B) ‘총합'”)

이런 식으로 원하는 이름으로 결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전 활용 예제: 재고 관리 데이터 분석

재고 관리 같은 상황에서도 QUERY 함수는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재고가 50개 이하인 제품을 추출하고 싶다면:

=QUERY(A2:D20, “SELECT A, B, D WHERE D <= 50 ORDER BY A ASC")

이 쿼리는 재고가 부족한 제품들만 필터링하여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예입니다.

QUERY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QUERY 함수를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범위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 SQL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문자열 비교 시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하며, 날짜 형식도 정해진 방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QUERY 함수는 초보자에게는 다소 까다로울 수 있지만, 사용해 보시면 점차 익숙해지고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데이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QUERY 함수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었기를 바랍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 QUERY 함수가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질문 FAQ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QUERY 함수란 무엇인가요?

QUERY 함수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SQL처럼 데이터 조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원하는 정보를 쉽게 필터링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UERY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나요?

이 함수는 데이터 범위와 쿼리 조건을 설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형식은 =QUERY(data, query)입니다.

WHERE 절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나요?

WHERE 절은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보여주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을 간편하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생활정보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아바타 플레이스홀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